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소와 난소를 포함한 생식기관에서 발생하는 암, 생식세포종양의 모든 것

by apwndi 2025. 7. 9.

🌱 정소와 난소를 포함한 생식기관에서 발생하는 암, 생식세포종양의 모든 것


우리 몸에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가 존재합니다. 이 중 생식세포(Germ cell)는 정자와 난자를 만들어내는 특수한 세포로, 남성의 경우 고환, 여성의 경우 난소에 주로 존재합니다. 이 생식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분열하고 증식하면서 생기는 암이 바로 생식세포종양(Germ Cell Tumor, GCT)입니다.

생식세포종양은 희귀암에 속하지만, 젊은 연령층에서 비교적 많이 발생하고, 치료에 잘 반응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정확한 이해와 빠른 대처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생식세포종양의 정의와 종류, 주요 증상 및 진단, 치료 방법과 예후까지 하나하나 꼼꼼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정소와 난소를 포함한 생식기관에서 발생하는 암, 생식세포종양의 모든 것
정소와 난소를 포함한 생식기관에서 발생하는 암, 생식세포종양의 모든 것

 

1️⃣ 생식세포종양이란 무엇인가요? – 생식세포에서 비롯된 다양한 암


생식세포종양은 정자 또는 난자를 만들어내는 생식세포가 암세포로 변이하여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고환(정소)과 난소에서 발생하지만, 드물게 중추신경계, 종격동, 복강 내 등 몸의 다른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식세포가 배아 시기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른 부위에 남아 증식하기 때문입니다.

 

✌️ 생식세포종양의 발생 부위

  • 남성: 대부분 고환에서 발생 (고환암의 약 95%)
  • 여성: 대부분 난소에서 발생 (난소암의 약 5% 내외)
  • 기타: 종격동(흉곽 중앙), 두개 내, 천골, 후복막 등에서도 가능

✳️ 중요 포인트: 생식세포종양은 위치에 따라 매우 다른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 없이는 다른 종양으로 오인될 위험이 있습니다.

 

✌️ 생식세포종양의 주요 종류

 

1. 기형종(Teratoma)

  • 여러 조직이 혼합되어 구성됨 (예: 치아, 머리카락 포함)
  • 악성일 수도, 양성일 수도 있음
  •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발생 가능

2. 융모막암(Choriocarcinoma)

  • 고도의 악성 종양
  • 임신 관련 조직에서 기원하며, 여성의 경우 자궁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남성 고환에서도 생길 수 있음
  • 혈행성 전이가 매우 빠름

3. 내배엽동 종양(Yolk sac tumor)

  • 소아기 고환암/난소암에서 흔한 종류
  • AFP(알파태아단백) 수치 상승

4. 정세포종(Seminoma)

  • 고환에서 가장 흔한 악성 생식세포종양
  • 성장 속도가 느리며 방사선에 잘 반응함
  • 30~40대 남성에게 흔함

5. 비정상 미분화 생식세포종양(Non-seminomatous germ cell tumor, NSGCT)

  • 정세포종 이외의 다양한 악성 생식세포종양을 포함
  • 성장 속도가 빠르고 전이도 흔함
  •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

 

2️⃣ 생식세포종양의 증상과 진단 – 놓치면 안 되는 경고 신호들


생식세포종양은 발생 부위에 따라 증상이 매우 다릅니다. 고환이나 난소처럼 외부에서 만져지거나 촉진되는 경우는 비교적 조기 발견이 쉬우나, 체내 깊숙한 부위(종격동, 복강 등)에 발생한 경우는 늦게 발견되거나 전이 후 진단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주요 증상 (부위별 정리)

 

고환 생식세포종양(고환암)

  • 고환에 멍울이 만져짐
  • 통증 없이 덩어리가 커짐
  • 무거운 느낌, 고환이 딱딱해짐
  • 드물게는 요통이나 전이 증상(기침, 흉통)

난소 생식세포종양(난소암 중 일부)

  • 복부 팽만, 생리불순, 복통
  • 골반 내 종괴
  • 간혹 급성 통증과 함께 병원 방문(난소 비틀림)

체내 생식세포종양(종격동, 뇌 등)

  • 기침, 흉통, 호흡곤란 (종격동)
  • 두통, 시야 이상, 구토 (두개 내)

✳️ 중요 포인트: 고환암은 젊은 남성에서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조기에 발견되면 완치율이 90% 이상입니다. 정기적인 자가진단이 필수입니다!

 

✌️ 진단 방법


병력 및 신체검진

  • 고환이나 복부에 덩어리가 만져지는지 확인

혈액 검사

     종양표지자 검사:

  • AFP (α-Fetoprotein): 내배엽동 종양
  • β-hCG (베타 사람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융모막암
  • LDH (젖산탈수소효소): 종양 크기와 상관 있음

영상 검사

  • 초음파: 고환, 난소 종양 확인
  • CT, MRI, PET-CT: 병기 결정, 전이 여부 파악

조직검사 및 수술

  • 일반적으로 전신마취 하에 절제 후 병리조직 진단
  • 고환암은 생검 없이 고환 전체 절제 후 진단이 원칙

 

3️⃣ 생식세포종양의 치료와 예후 – 젊은 환자에게 희망이 되는 암


생식세포종양은 다른 암에 비해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에 반응이 매우 좋은 암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고환암과 정세포종, 일부 여성 난소 생식세포종양은 조기에 치료하면 거의 완치에 가까운 치료 성과를 보입니다.

 

✌️ 치료 방법

수술

  • 고환 종양: 고환 절제술 (고환 전체 제거)
  • 난소 종양: 난소 절제 또는 보존적 수술 (가임력 고려)
  • 체내 종양: 위치에 따라 적절한 절제술 시행

항암화학요법 (Chemotherapy)

  • 표준 프로토콜: BEP 요법 (Bleomycin, Etoposide, Cisplatin)
  • 종양의 종류, 병기에 따라 3~4주기 이상 시행
  • 전이된 환자도 높은 완치율 기대 가능

방사선 치료

  • 정세포종(Seminoma)에서 사용
  • 비정상 미분화 생식세포종양(NSGCT)에는 잘 사용하지 않음

✳️ 중요 포인트: 생식세포종양은 다른 암에 비해 치료에 잘 반응하는 대표적인 암입니다. 하지만 진단 후 빠르게 병기 결정 및 치료 계획 수립이 매우 중요합니다.

 

✌️ 치료 후 예후와 추적관찰


* 초기 진단 시 5년 생존율 90~95% 이상

* 전이가 있었던 경우도 항암치료에 잘 반응하여 생존율 80% 이상

* 치료 후 3~5년간 정기적인 추적검사 필요

  • 혈액 종양표지자
  • 영상 검사
  • 신체 검사

✌️ 재발 예방과 가임력 보존

  • 일부 젊은 환자는 항암치료 전 정자 또는 난자 냉동 보존을 고려
  • 가임기 여성의 경우, 한쪽 난소 보존 가능 여부를 전문의와 상담
  • 재발 가능성 있는 환자는 장기 추적관찰 필요

 

 

🌸 생식세포종양은 젊은 환자에게 더 중요합니다
생식세포종양은 드물지만 젊은 연령층에서 자주 발생하며, 특히 정기적인 자가진단, 빠른 병원 방문, 정확한 검사와 치료 계획이 가장 중요합니다.
다행히도 이 암은 치료에 매우 잘 반응하는 특수한 암이므로, 조기에 발견해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 고환이나 복부에서 이상한 덩어리가 만져진다면? 바로 병원으로!
✔️ 가임력을 보존하고 싶다면 치료 전 꼭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 치료 후에도 추적관찰은 생명을 지키는 필수입니다.

 

🎗 생식세포종양은 두려운 병이 아닙니다. 알고 준비하면 반드시 이길 수 있는 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