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초염(Tenosynovitis)이란 무엇인가?
우리의 몸은 수많은 근육과 힘줄(건)로 움직입니다. 이때 힘줄은 단독으로 움직이지 않고, 마찰을 줄이고 원활한 운동을 돕기 위해 얇은 막에 싸여 있습니다. 이 얇은 막을 건초(腱鞘, Tendon Sheath)라고 부릅니다. 건초는 윤활액을 분비하여 힘줄이 뼈와 조직 사이에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데, 여기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바로 건초염(Tenosynovitis)이라 합니다.
건초염은 주로 손목, 손가락, 발목 등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부위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손목 엄지 손가락 부근에서 발생하는 드퀘르벵 병(De Quervain’s disease)이 대표적인 형태입니다. 이 질환은 단순히 손목 통증으로 시작되지만, 심하면 일상생활에서 젓가락질, 글쓰기, 스마트폰 사용 같은 기본 동작조차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건초염의 원인과 발생 기전, 대표적인 증상과 진단, 치료 및 예방 방법을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1️⃣ 건초염의 원인과 발생 기전
건초염은 힘줄을 둘러싼 얇은 막(건초)에 염증이 생기면서 발생합니다. 힘줄은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중요한 구조물인데, 반복된 움직임이나 무리한 사용은 건초에 마찰과 미세 손상을 일으켜 염증으로 이어집니다.
🟥 주요 원인
1. 과사용(Overuse, 반복적 움직임)
- 컴퓨터 키보드 타이핑, 스마트폰 과다 사용, 장시간 게임, 집안일 등 반복적인 손목·손가락 사용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 특히 엄지손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동작(문자 입력, 물건 잡기, 아기 안기 등)에서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2. 외상
- 손목이나 손가락 부위의 직접적 손상, 골절, 염좌 후 회복 과정에서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퇴행성 변화
- 중년 이후 퇴행성 변화로 인해 건과 건초의 탄력이 감소하면서 염증이 쉽게 발생합니다.
4. 호르몬 변화
- 출산 후 여성이나 폐경기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호르몬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 아기를 자주 안아야 하는 산모에게 흔히 나타나는 ‘산후 건초염’도 대표적입니다.
5. 기저질환
- 류머티스 관절염, 통풍, 당뇨병 등은 염증성 질환을 잘 일으키는 환경을 만들어 건초염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 발생 기전
- 건과 건초는 정상적으로는 부드러운 윤활액 덕분에 원활하게 움직입니다.
- 하지만 과도한 자극이나 손상으로 인해 건초가 붓고, 점성이 증가하며, 마찰이 심해집니다.
- 이 과정에서 통증, 부종, 열감이 나타나고, 반복될수록 건과 건초의 두꺼워짐(비후)이 발생해 만성화됩니다.
- 결국 손가락을 움직일 때 ‘걸리는 느낌’이나 ‘딸깍 소리(Trigger finger)’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 위험 요인
- 직업적으로 손목을 많이 쓰는 직종(요리사, 미용사, 목수, 사무직 등)
- 스포츠 활동(골프, 테니스, 배드민턴, 피아노 연주 등)
- 장시간 스마트폰·PC 사용
- 여성(특히 30~50대, 산후 여성)
2️⃣ 건초염의 주요 증상과 진단
건초염은 초기에는 단순한 통증으로 시작되지만, 방치할 경우 만성화되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
1. 통증
- 손목, 손가락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며, 특히 반복적 사용 시 심해집니다.
- 엄지손가락 근처(손목 요측) 통증은 드퀘르벵 병의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2. 부종과 열감
- 건초가 붓고 염증이 심해지면서 해당 부위가 붉고 뜨겁게 변합니다.
3. 운동 제한
- 손가락을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하거나, ‘걸리는 듯한 느낌’이 있어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 아침에 손이 뻣뻣하거나, 손가락이 잘 안 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4. 딸깍 소리(Triggering)
- 손가락을 움직일 때 ‘딸깍’ 소리가 나며, 손가락이 걸렸다가 풀리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 이는 특히 방아쇠 수지(Trigger finger)에서 흔히 관찰됩니다.
5. 손 기능 저하
- 글쓰기, 물건 잡기, 아기 안기, 스마트폰 사용 같은 일상 동작이 어려워집니다.
🟥 진단 방법
1. 문진과 이학적 검사
- 환자의 직업, 생활 습관, 증상 발생 시점, 통증 양상을 확인합니다.
- 손목이나 손가락을 특정 자세로 움직여 통증을 유발하는 검사를 시행합니다.
2. 핀켈슈타인 검사(Finkelstein Test)
-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으로 넣고 주먹을 쥔 뒤 손목을 새끼손가락 쪽으로 꺾었을 때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면 드퀘르벵 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3. 영상 검사
- 초음파: 건초 비후, 삼출액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RI: 복잡한 경우나 수술 전 정밀 진단이 필요할 때 시행합니다.
3️⃣ 건초염의 치료와 예방법
건초염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지만, 방치하면 만성 통증과 기능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치료와 예방이 중요합니다.
🟥 치료 방법
1. 보존적 치료
- 휴식: 손목·손가락 사용을 줄이고, 가능한 반복 동작을 피합니다.
- 냉·온찜질: 급성기에는 냉찜질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만성기에는 온찜질로 혈류를 개선합니다.
- 보조기(손목 보호대): 손목을 고정해 불필요한 움직임을 줄입니다.
- 약물 치료: 소염진통제(NSAIDs)를 사용해 통증과 염증을 완화합니다.
2. 주사 치료
-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는 염증을 빠르게 줄여 효과적입니다.
- 그러나 반복 주사는 건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2~3회 이상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3. 물리치료
- 초음파 치료, 전기 자극 치료, 스트레칭 및 근력 강화 운동 등이 도움이 됩니다.
4. 수술적 치료
-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만성화된 경우, 건초 절개술을 시행합니다.
- 좁아진 건초를 절개해 힘줄이 원활히 움직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재발률이 낮습니다.
🟥 예방법
1. 생활 습관 관리
- 장시간 스마트폰, PC 사용을 줄이고, 중간중간 스트레칭을 해줍니다.
- 물건을 들 때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올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2. 손목 스트레칭 및 근력 강화
- 규칙적인 스트레칭과 가벼운 근력 운동으로 건과 건초의 유연성을 유지합니다.
3. 직업적 위험 관리
- 손을 자주 사용하는 직업군에서는 작업 도중 휴식 시간을 갖고, 보호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체중 및 건강 관리
- 비만, 당뇨, 류머티스 관절염 등은 건초염 위험을 높이므로 전반적인 건강 관리가 필요합니다.
🟥 주의해야 할 점
- 건초염은 초기에 치료하면 대부분 호전되지만, 방치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악화됩니다.
- 증상을 무시하거나 진통제만 복용하며 사용하는 것은 병을 키울 수 있습니다.
- 손목·손가락 통증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전문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 마무리
건초염은 단순히 손목이나 손가락 통증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반복적 사용과 과부하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근골격계 질환입니다. 특히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이 일상화된 현대인에게 매우 흔히 발생하며, 산후 여성이나 손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더욱 잘 나타납니다.
이 질환은 조기 발견과 관리가 핵심입니다. 휴식과 생활습관 교정만으로도 충분히 호전될 수 있으며, 필요 시 약물·주사 치료,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평소 손목과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예방 습관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 작은 통증이라고 방심하지 말고, 꾸준한 스트레칭과 바른 생활습관을 통해 손목과 손가락 건강을 지켜 나가시길 바랍니다.